본문 바로가기
특수학

시청각, 지적장애 영양과 실질적인 준비

by 편순대 2022. 7. 27.
반응형

시청각 장애의 영양관리


1) 시각장애


시각장애 선수는 활동일 주기가 흐트러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복, 식이섭취, 식사시간 등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 시각장애 선수를 제대로 지원하기 위해 스포츠 영양사는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서면 또는 구두로)을 논의해야 하고 선수의 시야와 시력 정도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시력장애로 인해 선수는 스스로 운전을 못하기 때문에 대중교통이나 다른 사람이 운전해 주는 것에 의존해야 한다. 훈련장에서 경기장으로 이동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은 이동시간을 증가시키긴 하지만, 음식/음료를 섭취할 기회를 주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훈련 전, 회복 단계의 영양 권장사항은 이동간에 식사를 고려하고 이동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식단계획에 고려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시각장애 선수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탈수 증상을 식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분충전과 훈련 및 환경적 영향에 대한 교육을 받기 위해 외부 도움(예를 들어요비중을 측정할 보조인원이 필요하다. 적정 수준의 혈당농도를 유지하고 수분상태를 최적화하는 것은 최상의 신경계 기능 보장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정 장애 집단을 위한 실질적 고려사항


시각장애 선수는 스스로 생활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장비와 전력을 활용한다. 이동하는 것은 시각장애 선수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까지 추가적인 보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다. 시각장애 선수는 혼자서 생활하기 위해 행동절차에 의존하는데 이동 중에 환경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

시각장애 선수와 일할 때, 한 그룹에 선수별로 필요한 부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 정도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각장애 선수에게 자료를 제공할 때 선수가 글자크기를 키우거나 음성파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좋다. 새로운 터치스크린 기기는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이동 중 식사 선택지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때, 카페, 식당, 가게 등의 구체적인 위치(예: '호텔에서 왼쪽으로 꺾어서 200m 앞으로 가면 좌측에 가게가 있다)와 해당 상점에서 먹거나 살 수 있는 음식의 종류를 알려주는 것이 좋다.

뷔페 형식은 시각장애 선수가 식사하기에 적합한 환경은 아니지만, 팀 단체로 이동할 경우 호텔이나 숙소에서 보통 뷔페형식으로 식사를 제공한다. 음식 용기에 어떤 음식이 담겨있는지 구분하기 힘들고 보통 조명도 어둡고 음식 앞에 라벨에 글자가 작아서 시각장애 선수가 읽을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떤 음식이 있는지 일부만 얘기해주기보다 뷔페에 모든 음식을 얘기해주는 것이 좋다. 이로써 선수는 처음 보이는 음식으로 그릇을 채우기보다 식사를 계획할 수 있다. 보조도 없고 뷔페 식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않은 상황에서 선수들은 카술레, 콩, 애플파이를 담거나 야채 위에 커스터드를 뿌려 오는 사례도 있었다.

식기류, 칼, 오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스스로 식사를 준비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집환경을 고려할 때, 영양관리사는 선수에게 구체적인 식품의 브랜드명과 포장용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가게에 밝은 조명과 다양한 색채뿐만 아니라 포장에 작은 글씨로 기술된 함량정보로 인해 선수가 특정 영양소를 찾기 힘들다. 시각장애 선수가 누군가의 도움으로 장을 본다면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도움이 된다.


 장거리 이동 시 실질적 고려사항


시각장애 선수는 이동 중에 식사준비 하는데 보조가 필요할 수 있다. 선수가 어떤 음식이 어떤 용기에 담겨있는지 알 수 있도록 집에서 주로 사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가적으로, 단백질 용기를 큰 글자로 표시하거나 단백질 파우더를 미리 정량 배분해 놓는 것은 선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호텔 식당과 식사 메뉴에 대해 협조를 할 때, 뼈가 있는 생선이나 육류 등 발라 먹어야 하는 음식은 피해야한다.

식당 메뉴가 홈페이지에 게시가 되어 있어 사전에 열람할 수 있지 않은 이상, 선수는 식당에서 다른 사람이메뉴를 읽어주는 것에 의존해야 한다. 음식이 나오면 보통 시계방향 체계접시 위에 어떤 음식이 있는지 설명을해줘야 할 수도 있다(예: 육류는 3시 방향, 야채는 9시 방향) 음료수의 위치처럼 선수가 이미 위치를 외운 음식이나 물건을 옮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지적장애의 영양관리


1) 지적장애


지적장애 선수들의 영양학적 필요에 대해 진행된 평가는 아직까지 단 1차례밖에 시행되지 않았는데, 이마저도 2~13세 연령의 다운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만 진행된 것이다. 지적장애 선수들의 가장 보편적인 영양학적 문제는 구강운동 문제 (저작운동 및 연하운동의 어려움, 질식), 치아문제, 음식에 대한 알러지/소화장애,변비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84%의 부모가 지적장애 선수인 본인의 자식이 너무 많이 먹거나, 너무 적게 먹거나, 너무 많은 음식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인다고 응답했다(Gibson et al., 2011). 지적장애선수들의 정확한자가진단, 원활한 의사표현을 고무하고 식사제공과 관련된 제한사항을 완화하기 위해서 스포츠 영양사가 부모/간병인, 코치 및 기타 코칭스텝과 한 팀을 이루어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정 장애 집단을 위한 실질적 고려사항


지적장애 선수마다 이동 관련 준비가 다르다. 일부 선수는 이동을 위해 적절한 음식과 음료를 챙기도록 보조원과 세밀한 계획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지적장애 선수는 타 선수들보다 적절한 음식과 수분을 섭취하도록 더 장려해야 한다. 전문가의 조언보다보조원, 가족, 친구가 권유해야 선수가 순응할 가능성이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도움이 될 수 있다. 올바른 방향으로 교육을 하되 선수에게 어느 정도 선택권을 주는 것이 효과적인 교육 방법일 수 있다.


장거리 이동 시 실질적 고려사항


집 환경과 이동 중에 음식 섭취 계획을 짤 때, 선수 개인별 계획을 짜는 것이 적절하다. 몇몇 선수는 단계별로 정리된 권유나 그림으로 설명하는 방식을 선호할 수 있다. 지적장애 선수 중 일부는 엄격하게 짜인 시간표를 따라 생활을 한다. 이동 중에도 이 시간표대로 생활패턴을 어느 정도 유지하려는 노력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항상 가능하지만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식이습관이 심히 방해될 수 있다. 매우 세밀한 계획이 요구된다. 선수의 음식 및 수분섭취가 어떻게 영향 받고 이동 후에야 해결되더라도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동, 훈련캠프, 대회기간, 제반사항의 계획에 참여하여 적절한 식사와 영양공급 관련 모든 사항을 생각하고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팀과 함께 이동하거나 훈련장에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