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애인복지46

지체장애인 (뇌병변 장애) 운동지도방법 뇌병변 장애 뇌병변 장애의 판정은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과 기타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인한 경우에 한한다. 장애의 진단은 주된 증상인 마비의 정도 및 범위와 뇌병변으로 인한 경직, 불수의운동, 균형장애, 실조증상 등에 따른 팔·다리 기능수행저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행과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을 기초로 전체 기능장애 정도를 판정한다. 전체 기능장애 정도의 판정은 이학적검사 소견, 인지기능평가와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실시하며 진단서에 내용을 명기한다. 만 1세 이상~만 7세 미만 소아는 뇌성마비 대운동 기능 분류 시스템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대운동 기능평가(Gross .. 2022. 7. 27.
척수장애 유형과 운동지도법 지체장애인 척수장애 척수장애는 척주나 척추 신경의 질병 혹은 부상으로부터 야기되며 척수장애인은 손상 수준 및 정도에 따라다양한 중상을 보인다. 척수손상 수준이 높을수록 더 많은 손상을 가져옴을 의미하며 척수손상의 수준에 따라감각기능과 움직임 저하가 발생하는데 그 정도에 따라 사지마비 (quadriplegia)와 하지마비(paraplegia)로 구분한다. 즉 척추 손상은 척추골(Vertebrae), 또는 (Vertebral Column) 신경의 상해나 질환으로 발생하며 상해대부분은 중추 신경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손상부위 및 그 이하 신체부위의 몸통과 팔다리에 근마비, 불완전마비 등이 발생하여 운동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의미한다. 경추의 손상은 높은 수준의 사지마비와 낮은 수준의 사지마비로 분류할 수 있는데 .. 2022. 7. 25.
비만과 당뇨병, 그리고 영양과의 관계 비만이란? 비만이란 생활이 편리해짐에 따라 섭취하는 에너지보다 사용하는 에너지가 적어 그 결과 남은 에너지가 지방으로 바뀌어 몸 안의 여러 부분, 특히 피부밑의 조직이나 뱃속에 기름기가 쌓이게 되어 체중이 증가하는 현상이며, 일종의 질병으로 간주하고 있다. 장애인들은 영양 섭취도 늘어나지만 신체활동이 감소하기 쉬워서 인체 에너지의 공급과 소비의 불균형이 생겨 체내지방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대사성 질환의 일종인 비만증이 걸리기 쉽다. 비만 판정 방법 비만을 판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자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피부 두겹 집기 측정법 꼬집기 측정법이라고도 하는데 엉덩이뼈 위의 옆구리 중앙 부분을 꼬집어 피부 두께를 측정하여 그 피부 두께가 1인치(2.54cm) .. 2022. 7. 22.
장애의 이해 1. 장애의 정의 1) 장애의 정의 및 장애유형의 이해 (1) 국내 법령상 장애인의 정의와 권리 우리나라에서 법령상으로 '장애인'이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장애인복지법 제2조(장애인의 정의 등), 신체적 장애'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내부 기관의 장애 등을 말하고 정신적 장애'란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 또한, 장애인은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를 존중받고 그에 걸맞은 대우를 받으며, 국가·사회의 구성원으로서정치, 경제, 사회, 문화, 그 밖의 모든 분야의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가지고, 장애인 관련 정책결정과정에우선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장애인복지법 제4조(장애인의 권리)). 장애인복지법」 제2조(장애인의.. 2022. 7. 21.
반응형